Sun의 정리정돈

[Java script] 개요 본문

FrontEnd/JavaScript

[Java script] 개요

Sunday31 2022. 11. 8. 17:39

Java script 개요


함수영 언어로 구성되어 있는 JavaScript(이하 자바스크립트, js)
작성은 HTML문서에서 하되, <head> 태그 사이에 <script>태그를 작성한다.
브라우저에서 <script>를 읽어들여 자바스크립트로 읽어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.

자바스크립트에서 주석은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.

  • 한 줄일 때 //
  • 여러줄일 때 /**/

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따로 작성해 html에 링크로 불러올 때는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.

  • <script src="파일명.js"></script>

 

코드 작성 시 주의사항

  1. 영어 대소문자 구분 (두 단어 이상일 때 카멜케이스식 작성법 사용 ex.mathNum)
  2. 문자형 데이터는 " " 또는 ' ' 사용
  3. 작성을 마치고 ;(세미콜론) 사용 (헷갈리지 않기위해 작성해두는 편이 좋다)

 


  • 값: 더 이상 평가될 수 없는 하나의 식
  • 데이터: 값 + 값의 유형

값의 유형 (Data type)

원시 타입 참조 타입
숫자형 (number) 배열 (array)
문자열 (string) 객체 (object)
논리형 (boolean) 함수 (function)
null  
undefined  
Symbol  

typeof: 변수에 저장된 값의 자료형태를 알아내고 싶을 때 사용함
document.write(typeof 변수이름);


변수

  • 변수: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(입출력 프로그램)
  • 변수 선언: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넣으라고 지시하는 것
  • 데이터 할당: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
변수 선언 키워드  
var 변수
let 변수
const 상수
var 변수명 = 값(문자, 숫자, 논리값)

변수 선언시 주의할 점
변수명은 _, $, 영어로만 작성가능하다.
변수명을 줄 때 대소문자를 구분해야 한다. (모두 다르게 인식한다.)
변수의 값은 중간에 변경이 되면 변경된 값을 새로 저장한다.(마지막값이 덮어쓰기 된다.)


연산자

자바스크립트에서의 계산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연산자들

  • 산술연산자: +, -, *, /, %
    • 단항: --, ++
    • 이항: 계산할 항이 2개일 경우
  • 증감연산자: --, ++ (단항연산자)
    • --: 변수의 값을 1만큼 감소시킨다
    • ++: 변수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.
  • 대입연산자: 연산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 때
    • 복합대입(배정연산자): >=, +=, -=, *=, /=
      • ex) var res = 20;
               res = res + 20; (X)
               res += 20; (O)
  • 비교연산자(관계연산자): >, >=, <, <=, ==
  • 논리연산자: true, false
논리연산자
  And (&&)
진정으로 T여야함
OR (||)
둘 중 하나
Not (!)
계산된 값의 반대의 결과
T T -> T T F
T F -> F T F
F T -> F T F
F F -> F F T

 


* 함수(일부만)

   
alert( ); var 변수명=alert("출력할 메세지")
메세지가 적힌 알림창을 띄움
prompt( ); var 변수명=prompt("출력할 메세지",
"디폴트문자열(예시로 적힌 문자열)")
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메세지가 적힌 알림창을 띄움
confirm( );  

 

'FrontEnd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jax] Ajax의 개념  (0) 2023.01.25
[Java script] 문법(함수, 제어문)  (0) 2022.11.09
Comments